본문 바로가기
경제/한국주식

코스닥 대공황? 지금 한국 주식시장이 위험한 진짜 이유!

by 경제를 탐구하는 남자 2025. 5. 22.
728x90
반응형
SMALL

코스닥 대공황? 지금 한국 주식시장이 위험한 이유

2021년을 정점으로 시작된 한국 증시의 장기 하락장, 특히 코스닥 시장의 상황은 매우 심각합니다. 지금 이 시기는 “코스닥 대공황”이라는 표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한국 주식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반면 미국의 나스닥 시장은 반등세를 보이며 강세장을 연출하고 있어 그 대조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1. 세계 주요 증시와 비교된 코스닥의 성적

김피비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2년 반 동안 나스닥은 약 29% 상승했고, 심지어 중국의 항셍지수는 -13%, 코스피는 -19%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코스닥은 무려 -31%를 기록하며 전 세계 주요 증시 중 최하위 성적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단순한 주가 하락이 아닌, 구조적인 위기의 신호입니다.

코스피 지수(오늘은 2,625선에서 마무리 되었고 21년 고점에 비해서는 약 19%하락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코스닥 지수(오늘은 723선에서 마무리 되었고 21년 고점에 비해서는 약 31%하락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21년 고점은 1,000포인트가 넘었지만 지금은 여전히 800선을 뚫지도 못하고 있다.)

2. 반토막 이상 손실에 침묵한 투자자들

이전 불장과 달리, 현재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식 이야기를 꺼내는 경우가 드물어졌습니다. 이는 많은 투자자들이 반토막 혹은 그 이상의 손실을 입고 있다는 방증이며, 심리적으로도 시장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3. 기업 실적은 회복 중? 하지만 절반은 적자

코스피 상장사들은 전반적으로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이 동반 증가하면서 체질 개선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마저도 전체 기업 중 25%가 여전히 적자를 기록하며 '좀비 기업'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스닥은 상황이 훨씬 심각합니다. 전체 상장사 중 무려 46%가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순이익은 26.78% 감소했습니다. 이 추세가 지속될 경우 향후 3년 내 다수의 기업이 상장 폐지 위기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4. 주력 업종의 몰락 – 바이오, 2차 전지, 반도체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기업 중 7개가 바이오 관련 기업입니다. 바이오산업은 특성상 고평가를 받기 쉬우며, 현재 다수의 기업이 5년 연속 적자라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총 1위 기업 알테오젠은 시가총액 16조 원임에도 단기 순익은 600억 원에 불과합니다. 이는 매우 높은 PER(주가수익비율)로 평가되며, 실적 대비 지나치게 높은 주가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2위인 에코프로비엠 역시 매출이 60% 이상 급감, 분기 순익이 마이너스로 전환되었으며, 에코프로 역시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레인보우 로보틱스 또한 시총은 5조 이상이지만 순익은 21억 원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전반적으로 국제정세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과 맞물려 회사도 적자를 계속 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차가 많이 생산되면서 필요하지만 한국제품보다 중국제품이 더 팔리고 있고 AI 그리고 로봇기술 역시 지금 한국상황이 어렵다 보니 세계적으로 수출이나 기술을 선보이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됩니다. 

5. 미국 나스닥과의 극명한 차이

코스닥이 벤치마킹한 미국 나스닥은 어떨까요? 나스닥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구글 같은 글로벌 우량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으며, 이들은 실제 실적과 성장성을 기반으로 주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적자 기업, 고평가 기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주가 하락이 아닌 구조적인 신뢰 붕괴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우량 기업 중심의 미국 나스닥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합니다.

6. 해답은 ‘외화벌이’와 글로벌 시각의 확대

한국 주식 시장이 이처럼 침체된 이유로 내수경제의 한계와 산업 경쟁력의 약화를 지적합니다. 특히 중국 기업의 공세로 인해 국내 2차 전지 관련 기업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화벌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는 한국 내에서만 투자하는 것이 아닌, 미국 시장(미장)이나 글로벌 자산에 대한 투자를 통해 외화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결론: 지금은 냉정한 현실 인식이 필요한 시기

“625 전쟁 이후 가장 큰 위기”라는 표현까지 등장할 만큼 한국 코스닥 시장의 상황은 심각합니다. 기업 구조의 불균형, 과도한 고평가, 산업의 몰락 등은 단기적인 반등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지금은 냉정하게 현실을 바라보고, 보다 합리적인 투자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